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패스트캠퍼스후기
-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 fastcampus
- 오공완
- 패스트캠퍼스
- 직장인자기계발
- 직정인자기계발
- 파이썬
- 패캠인강후기
- 코딩교육
- 직장인공부
- 패캠
- PM강의
- 패캠챌린지
- 내일배움카드
- 자바스크립트
- 코딩자격증
- 수강료0원챌린지
- reactnative강의
- 패캠강의후기
- 패캠reactnative
- 자바
- 30개프로젝트로배우는iOS앱개발withSwift초격차패키지Online.
- 코딩테스트
- 국비지원교육
- 환급챌린지
- 직장인인강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3)
라티의 작은 일기장

내일배움카드에 크레딧이 남아있어서 평소 자주 사용하던 패스트캠퍼스에서 마침 관심을 가지고 있던 PM(Product Manager)의 역할과 업무 전반을 다루는 강의를 신청해 약 8주간 수강해 보았다. 나는 현재 한 서비스 회사에서 프런트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지만, 평소 함께 일하는 PM 분들이 어떤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보는지, 우리가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기능들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는지 궁금했던 적이 많았다. 또, 개발자로서 PM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할 때 어떤 배경지식을 갖고 있어야 더 효율적 일지 항상 고민이 있었고, 그런 부분들을 이번 강의를 통해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싶었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커리어에 변화가 생긴다면 내가 가장 유력하게 고려할 직무가 PM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오늘은 입력값 검사에 관한 내용을 공부했다. (나는 입력값 검증이라는 표현이 좀 더 익숙한듯?) Spring Framework에서는 어노테이션을 기반으로 입력값에 대한 검사를 쉽게 진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의존성을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해주고 있다. (spring-boot-starter-validation) 이메일과 이름으로 회원가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일반적으로 생각해봤을 때 이메일은 유효한 이메일의 형식이 있고, 이름은 아무리 짧아도 2자, 또 너무 길어도 20자를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이런 제약 조건 하에 회원 가입 요청을 받는 api를 만들어보자. 1..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오늘은 어제에 이어 Handler와 Controller, PathVariable과 RequestParam에 대해 공부했다. 우선 Spring Framework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주는 Spring MVC라는 모듈이 있다.MVC는 MVC 패턴에서의 MVC이지만, Spring MVC는 조금은 다른 MVC 패턴을 채택해서 동작한다.Front Controller와 Handler라는 서브모듈이 있고, 이 둘이 기존 MVC에서 Controller의 역할을 수행한다.Front Controller는 다시 또 DispatcherServlet, HandlerMapping, HandlerA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오늘은 스프링부트를 활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파트의 개요에 해당하는 내용을 학습했다. (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어플리케이션 설정) 일단 웹 어플리케이션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IT 서비스 회사들이 웹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해하면 된다.Client Web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DB이런 구조로 데이터가 흐르고, Web Server부터 DB까지의 영역을 Web Back-end라고 부를 수 있다. Web Sever와 Web Application Server(WAS)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전에는 흐릿하게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오늘은 트랜잭션 매니저와, 선언적 / 명시적으로 트랜잭션을 활용하는 방법,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활용한 트랜잭션 관리에서 주의할 점 등을 골고루 학습했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Service Layer에서 작성되는 비즈니스 로직이 특정 기술에 종속적으로 작성되면 안되기 때문에, (중간에 모종의 이유로 채택한 기술이 변경되었을 때 유연하게 기존 코드를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서일듯) 독립적으로 트랜잭션과 관련된 로직을 Service Layer에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즉, 트랜잭션 기능에 대한 추상화가 적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connection 생성, commit, rollback..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이번주는 진짜 유난히 추워서 출퇴근 때 에너지를 많이 뺏겼다... 휴.. 힘들지만 그래도 힘내서 계속 달려보자. 오늘은 데이터 일괄 처리와 트랜잭션에 관해 공부해보았다.데이터 일괄 처리 자체는 여러 건의 데이터에 대해 SQL 쿼리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오늘 강의에서는 update() 쿼리에 대해 주로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전에 공부했던 PreparedStatement를 활용한 쿼리 실행 방법에 대해서도 다루어져서 간단한 실습을 진행했다.바로 이어서 트랜잭션에 대해 공부했다. (이쪽이 조금 더 재밌을 것 같았다)트랜잭션은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를 의미하고, API의 성능 지표로서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오케이 작심삼일의 고비는 넘어갔다. 4일차도 스근하게 끝내보자.오늘은 SQL 쿼리 결과를 Java 객체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사실 어제일자로 JDBC 공부하고 실습할 때 이미 JdbcTemplate이 제공하는 queryForObject라는 메소드를 활용한 적이 있다.public User findUserById(Long userId) { return jdbcTemplate.queryForObject( "SELECT id, name, email FROM users WHERE id = ?", (rs, rowNum) -> { // 람다를 이용한 RowMapper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https://bit.ly/4gL1f1o 작심삼일을 결정짓는 마지막 날이다!오늘은 퇴근 후 저녁 약속이 있어 오전에 일찍 일어나서 공부를 시작했다.오늘 학습한 내용은 JDBC에 관한 것이었다. JDBC는 자바에서 DB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여기서 접근은 CRUD 작업을 의미하고, DB의 종류는 크게 상관없이 가능하다. (MySQL, Oracle DB, PostgreSQL 등...)크게 아래 3가지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Connection: DB 연결에 사용- Statement: SQL 전달- ResultSet: SQL 실행 결과 응답 그리고 위 표준 인터페이스는 사용하는 DB에 따라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로드해..